티스토리 뷰

반응형

청년이라면 무조건 보고 신청해야 할 2023년 자산형성 지원제도 정리

이거 표하나면 딴거 안 보고 링크주소로 이동해서 신청하면 된다.

중위소득과 나이를 모른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면 된다.

사업명 대상 및 지원내용 시기 신청방법
청년도약계좌 19~34세 개인 소득 및 가구소득 기준을 충족하는 청년대상 중장기 자산형성지원(정부에서 얼마 이자를 추가 지원해주는 개념)
관련 정보 보러가기
6월 출시
(반드시 신청할 지원제도)
금융위원회 바로가기
사회복귀준비금
(병내일준비지원)
(대상) 장병내일준비적금 가입 후 만기 해지한 병역의무 이행자
(내용) 적금 원리금의 연도별 매칭비율에 해당하는 금액 추가지원
* 원리금: 은행5% +지원 1%
* 매칭비율: 22년 33% 23년 71%
병역의무이행자의
전역(소집해제)로
장병내일 준비적금
만기 해지시

e-병무지갑앱 설치
'가입자격 확인서' 발급
은행에 가입신청
국방부 병무청 참고
청년내일저축계좌 대상
- 연령: 신청당시 19~34세
- 월 근로,사업소득 50만~ 240만  
- 가구소득기준 중위소득 100%이하
- 재산: 대도시 3.5억 중소 2억원
지원내용
- 본인저축액(월 10만원이상) + 근로소득장려금(10만원)
2022년 7월 부터  온라인 신청 
복지로 바로가기

방문신청
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
청년희망키움통장 <희망저축계좌I>
대상
- 일하는 생계,의료 수급가구 중 신청당시 가구 전체의 근로사업소득40%의 60%이상인 가구 (돈을 버는게 속득에 60%이상인 소리) 
지원내용
- 본인저축액(월 10만원 이상) _ 근로소득장려금(30만원)
<희망저축계좌II>
대상
- 일하는 주거,교육 수급가구 및 차상위계층가구(중위소득 50%이하)
- 지원내용
본인저축(10만원이상) + 근로소득장려금(10만원)

2022년 4월부터 온라인 신청
복지로 바로가기

방문신청
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
청년재직자
내일채움공제
플러스
청년근로자, 중소기업, 정부가 동일 비율로 공제금을 3년간 적립, 만기 시 1800만원을 지급
-(대상) 기업: 제조업 건설업을 영위하는 50인 이하 기업
-(대상) 청년: 6개월 이상 재직 중인 연소득 3600만원 이하 청년
2023년 2월 시행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
해당 지역 지부 공제가입

내일채움공제신청
공제계약 청약신청
청년내일채움공제(일반) 대상
- 청년: 15세이상 34세이하 신규취업
- 기업: 5인이상 50인 미만 중소기업
내용
- 청년,기업,정부의 3자 적립, 2년 만기시 1200만원 지급
*청년(400만),기업(400),정부(400)
2023년 3월 ~
물량 소진시까지
워크넷 청년공제 누리집신청

내일채움공제 신청
청년우대형 청약통장 대상
- 19 ~ 34세로 연 3,600만원 이하 소득 무주택세대주(세대주예정자, 무주택세대의 세대원 포함)
내용
- 총 납입금액 5,000만원 한도내에서 최대 10년간 우대금리1.5% 적용 이자소득 5백만원(연납입600만원) 까지 비과세 혜택
~23년 한시 운영 수탁은행 방문접수
우리은행 가기

신한은행 가기

KB은행 가기

기업은행 가기

KEB하나은행 가기

부산은행 가기

대구은행 가기

경남은행 가기

중위소득 표 참고 하기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