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반응형

정부에서는 청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들이 많다.

이것저것 너무 많아서 뭐가 뭔지 모른다면 바로 아래 표를 참고하자.

자세한 사항은 해당 사업 신청방법의 링크를 꼭 눌러서 확인하고 신청하자.

소득중위와 나이를 모른다면 표아래 링크를 눌러 확인

사업명 대상 및 지원내용 신청시기 신청방법
다가구 매입임대 주택공급 (대상): 대학생, 취업준비생 및 19~39세 무주택 청년
(내용): 역세권 등 도심우수입지에 저렴한 임대료(시세 30~50%)의 매입임대주택을 청년에게 공급
(조건): 생계,주거,의료급여 수급자가구 및 한부모가족, 차상위계층 가구, 본인과 부모의 월평균 소득 100%이하인자, 본인의 월평균소득 100%이하인자.
상시 공공주택
사업처별
청약접수처

마이홈포털
전세임대 (대상) 대학생, 취업준비생 및 19세~39세 무주택 청년
(내용) 역세권등 도심우수입지에 저렴한 임대료의 전세임대주택 공급
(조건) 생계,주거,의료급여 수급자가구 및 한부모가족, 차상위계층 가구, 본인과 부모의 월평균 소득 100%이하인자, 본인의 월평균소득 100%이하인자
*다가구와는 형태만 다르고 조건등은 동일함
상시 주택토지주택공사

자세한사항확인하기

마이홈포털
주택구입,전세자금대출 - 주택시장 수요 변화 및 집행 실적 등을 고려하여(19세~34세 이하) 등의 안정적인 주거 지원을 위한 주택구입,전세자금운영
- 생애최초,신혼가구 디딤돌 주택구입 대출 부부합산 연소득 7000만원 이하 주택가격 6억원, 대출금액 최대 4억원, 금리 1.85~2.7%
- 청년가구 버팀목전세자금대출 부부합산 연소득 5000만원 이하 85제곱미터이하 보증금 3억원, 대출한도 2억원, 대출비울 보증금의 80%이내, 금리 1.5~2.1%
- 중소기업 취업 청년가구 전세자금대출은 부부합산 5000만원 이하(외벌이 3500만원) 85제곱미터이하, 보증금 2억원, 대출한도 1억 원, 대출비율 보증금의 80~100%, 금리1.2%
-생애최초디딤돌구입자금, 버팀목전세대출 지속운영
- 중소기업취업 청년가구 전세자금대출 23년 까지만 한시 운영
주택도시보증공사
기금e 든든
 

은행방문접수
우리은행
신한은행
국민은행
농협은행
기업은행
*4.1부터 기업은 제외
하나은행
대구은행
부산은행 
청년월세 한시특별지원 (대상) 19~34세 무주택 청년, 부모와 별도거주, 보증금 5000만원 이하이고 월세 60만원 이하 월세 거주
(내용) 실제 납부하는 임대료를 웧 최대 20만원, 최대 12개월 지급
'22~24년 한시운영 복지로
청년전세 보증금반환
보증금지원
(대상) 19~34세 무주택 청년, 전월세보증금 2억원 이하, 연소득 5000만원 이하
(내용) 청년임차인이 가입 및 납부한 전세보증금반환보증 보증료 전액지원
23년 상반기 시행
지자체별 상이
반드시 신청 할것
복지로
각 지자체 홈페이지 검색
서울청년몽땅정보통
용인시
부산특별시
통합공공임대주택 (대상) 19~39세 청년 등 무주택자, 중위소득 150% 이하(1인가구 170%)
(내용)임대주택 공급(시세 35~90%)
입주자 모집공고 공공주택 사업처별
청약접수처 확인
마이홈
행복주택 (대상) 19~39세 청년, 대학생 등 무주택자,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 100%이하(1인가구 120%)
(내용) 임대주택 공급(시세 60~80%수준)
나눔형주택
(이익공유형)
(대상) 19~39세 미혼, 주택 무소유 이력,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소득 140%이하
(내용) 분양주택 공급
선택형주택
(6년 분양전환)
(대상) 19~39세 이하 미혼 주택 무소유 이력,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소득 140%이하
(내용) 분양전황 임대주택 공급

2023 소득 중위표 알아보기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