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반응형
임대주택, 영구주택, 장기전세주택 너무 많은 종류와 명칭
과연 나는 어디에 속하고 어디서 신청할 수 있는지 알아보자.
임대주택 관련 사업은 마이홈 홈페이지에서 신청이 가능하다.
신청 전 자가 진단도 가능하다.
아래 표를 보고 주거하는 곳 또는 할 곳에서 검색한 후 지원하면 된다.
ctrl+f로 검색한다.
<소득계층별 임대주택 알아보기>
종류 | 내용 | 신청자격,기준 | 최대거주기간 전용면적 |
조건 | 일반 | 신혼 | 청년 |
통합공공임대주택 | 복잡한 공공임대주택유형을 하나로 통합하고 입주자격 임대료 쳬계 등 제도 전반을 수요자관점에서 개선한 공공임대 주택 | 입주자 모집 현재 자격 요건에 해당하는 사람 | 30년 85제곱미터이하 |
보증금+임대료 (시중시세의35~90%) |
O | O | O |
영구임대주택 | 사회보호계층의 주거안정을 목적으로 건설된 임대주택 | 생계급여 또는 의료급여 수급자, 국가유공자, 일본위안부피해자, 한부모 가족등 | 50년 40제곱미터이하 |
보증금+임대료 (시중시세의 30%) |
상이 | O | X |
매입임대주택 | 도심 내 최저소득계층이 현 생활권에서 현재의 수입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다가구주택등을 매입하여 보수후 저렴하게 임대하는 주택 | 무주택세대구성원으로 소득 및 자산보유기준 충족 | 6년(청년)~ 20년(일반) 85제곱미터이하 |
보증금+임대료 (시중시세의 35~90%) |
상이 | O | O |
국민임대주택 | 무주택 저소득층의 주거 안정을 위해 국가재정과 국민주택기금을 지원받아 공급하는 임대주택 | 무주택세대구성원으로 소득및 자산보유기준 충족 | 30년 60제곱미터이하 |
보즘금+임대료 (시중시세의 60~80%수준) |
상이 | O | X |
공공임대주택 | 5년에서10년 임대 후 분양 전환하는 임대주택 | 입주자저축(청약저축,주택청약종합저축)순위 및 자산 소득등으로 정한 선정기준 충족 | 5년/10년 85제곱미터이하 |
보증금+임대료 (시중 전세시세의 90%) |
O | O | X |
장기전세주택 | 국가,지차체,한국토지주택공사등이 임대할 목적으로 건설하는 주택 | 무주택세대구성원으로 소득및 자산보유기준 충족 | 20년 | 보증금 (시중시세의 80%) |
O | O | X |
전세임대주택 | 도심 내 저소득계층이 현생활권에서 안정적으로 거주 할 수 있도록 하는 임대주택 | 무주택세대구성원으로 소득및 자산보유기준 충족 | 6년(청년)~ 20년(일반) 85제곱미터 |
보증금(젠세금의 2~20%) +임대료(기금의 연1~2%) |
상이 | O | O |
행복주택 | 대학생,신혼부부,청년 등을 위해 직장과 학교가 가까운 곳, 대중교통이 편리한 곳에 짓는 공공임대주택 | 입주자 모집 공고일 형재 자격요건에 해당하는 사람 | 6~20년 60제곱미터이하 |
보증금+임대료 (시중시세의 60~80%) |
O | O | O |
신혼희망타운 | 육아를 비롯한 신혼부부 수요를 반영하여 건설하고 전량을 신혼부부에게 공급하는 신혼붑주 특화형 공공주택 | 7년이내 6세이하자녀 우선공급 | 임대형:10년 60제곱미터이하 분양형:한정없음 |
분양형: 연1.3% 고정금리 70%지원 임대형: 최저1.2% 임차보증금 80%지원 |
X | O | X |
*신혼부부기준은 혼인 7년 이내 6세 이하 자녀를 둔 사람 우선 공급(매입인대주택의 경우 혼인기간 7년 이내, 예비신혼부부 가능)
*청년의 기준은 주택별로 상이하나 전세임대투택의 경우 수도권 1억 2천만 원 한도 광역시 9500만 원, 기타 지역 8천5백으로 한정
반응형